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풋살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말레이시아 풋살 국가대표팀 문서
말레이시아 풋살 국가대표팀번 문단을
말레이시아 풋살 국가대표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width=25%> [[파일:괌 기.svg|width=50]] ||<width=25%> [[파일:네팔 국기.svg|width=25]] ||<width=25%>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50]] ||<width=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괌 축구 국가대표팀|괌]] ||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네팔]] ||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대만]]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 [[파일:동티모르 국기.svg|width=50]] ||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50]] ||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50]]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동티모르]] || [[라오스 축구 국가대표팀|라오스]] ||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레바논]] ||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마카오]]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몰디브 국기.svg|width=50]] || [[파일:몽골 국기.svg|width=50]] ||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말레이시아]] || [[몰디브 축구 국가대표팀|몰디브]] ||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몽골]] ||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팀|미얀마]] || ||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50]]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50]]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50]] || [[파일:부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바레인]] || [[방글라데시 축구 국가대표팀|방글라데시]] ||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베트남]]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부탄]] || ||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width=50]] || [[파일:북한 국기.svg|width=50]]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50]]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북한]] || [[브루나이 축구 국가대표팀|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 ||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50]]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50]]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50]]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스리랑카 축구 국가대표팀|스리랑카]]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시리아]]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 ||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예멘 국기.svg|width=50]] || [[파일:오만 국기.svg|width=50]] ||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아프가니스탄]] || [[예멘 축구 국가대표팀|예멘]] ||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오만]] ||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요르단]] ||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50]] || [[파일:이란 국기.svg|width=50]] || [[파일:인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란]] || [[인도 축구 국가대표팀|인도]]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일본 국기.svg|width=5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50]]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인도네시아]]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중국]] ||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카타르]] ||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50]]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50]]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캄보디아]]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타지키스탄]]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50]]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팔레스타인]]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50]]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필리핀]] ||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호주]]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4><bgcolor=#f7f7f7,#191919><color=#191919,#FFFFFF>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14]]]]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아프리카 축구 연맹|[[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남미 축구 연맹|[[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오세아니아 축구 연맹|[[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유럽 축구 연맹|[[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4><bgcolor=#f7f7f7,#191919>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



파일: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Pasukan bola sepak kebangsaan Malaysia
정식명칭Pasukan bola sepak kebangsaan Malaysia[1]
FIFA 코드MAS
축구 협회말레이시아 축구 협회 (FAM)
대륙 연맹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 연맹아세안 축구 연맹 (AFF)
홈 구장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Bukit Jalil National Stadium / 87,411석)
별칭Harimau Malaya (말레이시아 호랑이)
Skuad kebangsaan (국가대표)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판곤 (Kim Pan-Gon)
주장
C
사파위 라시드 (Safawi Rasid)
서포터즈울트라 말라야 (Ultra Malaya)[2]
FIFA 랭킹137위 (2023년 10월 기준 / #)
Elo 랭킹141위 (2023년 11월 22일 기준 / #)
[ 대표팀 기록 보기 ]

A매치 최다 출전소친온 (Soh Chin Ann)
- 219경기[1][2] / 13골
A매치 최다 득점목타르 다하리 (Mokhtar Dahari)
- 142경기 / 89골
첫 국제경기 출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vs ta-hash-start=w-0826d4278e95e1e8090df51febb27670[[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1:1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1963년 10월 12일)
최다 점수차 승리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vs ta-hash-start=w-e3036fb3e0fd60ba20772f6325fa8f60[[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11:0
(이란 테헤란 / 1974년 9월 7일)
최다 점수차 패배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vs ta-hash-start=w-c386493506d9c67ef6701660db27a79e[[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0:10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 2015년 9월 3일)

[1] FIFA가 최근 발표를 통해 107경기를 추가로 인정하였다.[2] A매치 남성 부문 역대 최다 출장자
[ 대회별 성적 보기 ]

국제 대회
올림픽[진출] 1회
[최고] 10위 (1972)
대륙 대회
아시안 게임[진출] 14회
[최고]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1974)
아시안컵[진출] 4회
[최고] 5위 (1976)[1]
AFF컵[진출] 12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010)

[1] 6강 조별리그

유니폼 컬러어웨이
상의
하의11
파일:나이키 로고.svg
18
파일:나이키 로고 옐로우.svg
양말

1. 개요
2. 코칭 스태프
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4. 현재 선수 명단[3]
5. 역대전적
6. 연령별 대표팀



1. 개요[편집]


말레이시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말레이시아 호랑이들(Harimau Malaya)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4]. 월드컵 본선에는 한 번도 오르지 못했다.

국제대회에서 1962년 자카르타 아시안게임에서 동메달을 차지한 것을 빼면 큰 성적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메르데카컵이 당시 아시아권에서 큰 대회라서 기본기는 있었기 때문에 1980년대 중반까지는 말레이시아 원정은 대한민국도 고전할 정도의 전력을 자랑했다. 특히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말레이시아는 태국과 더불어 동남아시아 축구의 양대 강호였고, 아시아 전체에서도 나름 복병의 위치였다. 1972년 뮌헨 올림픽 16개국 본선에 진출해 비록 16강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미국을 꺾고 1승을 기록하며 대회 10위를 기록하였고,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도 본선 진출에 성공했으나 정치적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대회 보이콧을 하게돼 본선 대회를 포기하는 사태도 있었다. 아시안컵에도 6개국 본선 1976아시안컵과 10개국 본선 1980아시안컵에 꾸준히 진출했었다. 특히 1980년 쿠웨이트 아시안컵 10강 조별리그에서 대한민국과 같은 조에 속했고, 맞대결에서 1-1 무승부를 거두는 등 끝까지 4강 토너먼트 진출권에서 경쟁하다가 아깝게 대회 6위로 탈락한 전적이 있다. 즉 세계대회와 아시아 대회 단골급 팀으로 절대 무시못할 팀이었다.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1차 예선에서도 대한민국은 말레이시아 원정 경기에서 패했다. 심지어 아시아 예선 탈락 위기까지 몰렸는데, 말레이시아가 네팔 원정에서 비기고(홈에선 네팔을 개발살) 한국이 홈에서 말레이시아를 잡는 덕에 2차 예선에 올라갈 수 있었다. 대한민국과 가장 마지막으로 치른 경기는 1989년에 열린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아시아 예선 경기로 한국에게 3:0으로 대패했다.

1976년, 박스컵에서 한국팀이 말레이시아를 상대로 6분 남기고 4:1로 뒤진 상황에 차범근이 혼자 세 골을 몰아쳐 동점으로 끝났다.

A매치는 아니지만 2018년 8월 17일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 말레이시아가 한국을 2:1로 꺾고 조 1위로 16강에 올랐으나 일본에게 후반 종료 직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0:1로 패배했다.

역대 대한민국과의 상대전적은 8승 12무 26패.

그러나 1990년대 이후로는 동남아시아에서도 중위권으로 밀려났는데, 2010년 12월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남아시아 최하위권인 인도네시아에게 1:5로 대패하기도 했다. 그러나 강호 태국과 비기면서 조 2위로 4강 토너먼트로 진출하여 주최국이자 전번 대회 우승팀인 우승후보 베트남을 1승 1무로 누르고 오랜만에 이 대회 결승에 진출[5]했다. 하지만 예선에서 말레이시아를 대파 한 인도네시아가 결승전 상대로 결정되어 대회 우승은 어려워 보였다. 그러나 말레이시아는 안방에서 열린 결승 1차전에서 인도네시아를 상대로 3:0으로 대승을 잡은 덕에 인도네시아 원정에서 1:2로 패배하고도 골득실(4득 2실)로 앞서 처음으로 이 대회에서 우승했다. 이 첫 우승을 기념하고자 나집 툰 총리는 12월 31일 금요일을 국경일로 선포했다.

2012 대회에선 태국에게 4강에서 덜미를 잡혀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2014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4강에서 베트남을 상대로 1승 1패(1:2, 4:2)를 거두며 골득실로 앞서 4년 만에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 상대는 바로 태국. 그러나 2년 전 패배를 설욕하지 못하고 준우승으로 만족해야 했다.

2018년 대회 4강전에서는 태국과 2무를 거뒀지만 원정 다득점으로 앞서 3회 연속 우승을 노리던 태국을 탈락시켜 4년 전 패배를 설욕하며 다시 4년 만에 결승에 진출했으나 박항서의 부임 이후 완전히 달라진 베트남에 밀려 또 다시 준우승에 그치고 말았다.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시아 1차 예선에선 대만과 1승 1패를 주고 받았는데 원정 다득점 우위로 겨우 2차예선에 올랐다. 그리고 싱가포르에게 1무 1패로 밀려 떨어졌다.

그 뒤 2018 러시아 월드컵 예선에서 아주 줄초상을 치루면서 아랍에미리트에게 0:10으로 대패하고 동남아시아 최약체 동티모르에게 홈에서 1:1로 비기는 부진을 보이자 정부가 축구협회에 관여하겠다고 하여 FIFA에게 차기 월드컵 및 아시안컵 참가 박탈을 경고받았다. 그런 가운데 월드컵 예선 사우디아라비아전에서 막판에 1:2로 역전당하자 관중들이 홍염을 그라운드로 투척하는 등 폭동이 벌어져 경기가 중단되는 추태를 보였다. 결국 0:3 몰수패와 다음 홈경기 무관중 및 벌금 4만 스위스 프랑 징계를 받았다.

그리고 2019년 AFC 아시안컵 지역예선에서 광탈하면서 본선 무대를 밟지 못했다.

실력과는 별개로 축구 열기는 뜨거운 나라라 국가대표팀의 인기도 대단한 편이다. 말레이시아 국가대표 서포터즈인 울트라스 말레야(Ultras Malaya)는 특유의 광적인 응원 덕분에 일부 해외 축구 팬들 사이에서 컬트적인 인지도가 있을 정도.

그런데 2022 카타르 월드컵 2차예선에서는 탈락했지만 무려 태국을 2번 연속으로 제압하고 태국을 제친 3위를 기록했다. 나름 복병의 면모를 보여주는 팀임을 보여주는 예시.

말레이시아도 유럽파 선수 보유 국가인데 벨기에 1부리그 KV 코르트레이크루크만 하킴이 있다. 이적 자체는 코르트레이크의 소유주가 말레이시아인이라는 점이 제법 작용하긴 했지만, 동남아시아권에서 주목받는 유망주 중 한 명이다.

2020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베트남인도네시아에게 박살나며 마무리짓자 탄 쳉 호 감독이 사임했고, 이어 2021년 1월 21일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을 맡았던 김판곤이 감독으로 부임하며 동남아시아에서는 베트남의 박항서, 인도네시아의 신태용에 이어 세 나라가 한국인 감독을 선임하게 되었다. 김판곤 신임 감독은 자신의 사단으로써 국가대표 골키퍼 출신 조준호 골키퍼코치와 전 서울 이랜드 전력분석관인 임재훈 분석코치과 동행한다. 김판곤 신임 감독은 3월 A매치데이 이후 6월 아시안컵 예선 3연전 홈경기를 통해 첫 시험대에 오른다. 바레인, 투르크메니스탄, 방글라데시와 맞붙게 된다.

김판곤 감독은 데뷔전이자 가장 큰 시험대인 아시안컵 예선에서 투르크메니스탄을 잡으며 매우 좋은 출발을 보였다. 이후 조 최강 바레인과의 경기에서 아쉽게 1-2로 졌지만 조 최약체 방글라데시를 4-1로 잡으면서 여유롭게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이끌었다. 현지에서는 난리가 났는데, 그도 그럴것이 말레이시아가 자력으로 아시안컵 예선을 통과한 것은 1980년 쿠웨이트 대회 본선진출 이후 무려 43년만의 일이기 때문이다. 현지에서는 그의 외모를 닮은 오징어게임의 장덕수 캐릭터를 활용해 김판곤 팬픽을 만드는 등 축제 분위기다.

유니폼 스폰서는 나이키다.

2. 코칭 스태프[편집]



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000,#ddd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rowbgcolor=#000000><rowcolor=#ffe000><width=10%> '''순서''' ||<width=40%> '''선수 이름''' ||<width=10%> '''출전 횟수''' ||<width=20%> '''첫 경기''' ||<width=20%> '''마지막 경기''' || || 1 || 소친안 || '''195회''' || 1969.11.19 || 1984.10.18 || || 2 || 수코르 살레 || '''163회''' || 1970.11.15 || 1981.9.12 || || 3 || 목타르 다하리 || '''138회''' || 1972.6.5 || 1985.5.19 || || 4 || 아루무간 렝가사미 || '''131회''' || 1973.5.17 || 1986.9.23 || || 5 || 자이날 아비딘 하산 || '''116회''' || 1980.11.11 || 1997.10.14 || || 6 || 찬드란 무트베란 || '''115회''' || 1965.8.14 || 1974.9.15 || || 7 || 산토흐 싱 || '''100회''' || 1973.5.19 || 1984.4.8 ||




4. 현재 선수 명단[6][편집]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영문 성명생년월일출장득점클럽비고
GK1칼라물라 알 하피즈Kalamullah Al-Hafiz1995년 7월 30일10크다 다룰 아만 FC
16시한 하즈미Syihan Hazmi1996년 2월 26일90느그리 슴빌란 FC
23라하디아즐리 라할림Rahadiazli Rahalim2001년 5월 28일10트렝가누 FC
DF2아잠 아즈미Azam Azmi2001년 2월 12일60트렝가누 FC
3쿠엔틴 쳉Quentin Cheng1999년 11월 20일80슬랑오르 FC
4루벤티란 벵가데산Ruventhiran Vengadesan2001년 8월 24일90슬랑오르 FC
5샤룰 나짐Sharul Nazeem1999년 11월 16일90슬랑오르 FC
6도미닉 탄Dominic Tan1997년 3월 12일170사바 FC
12파즐리 마즐란Fazly Mazlan1993년 12월 22일190슬랑오르 FC
15후자이미 피에Khuzaimi Piee1993년 11월 11일90슬랑오르 FC
MF8스튜어트 윌킨Stuart Wilkin1998년 3월 12일84사바 FC
10리 터크Lee Tuck1988년 6월 30일82크다 다룰 아만 FC
14무카이리 아즈말Mukhairi Ajmal2001년 11월 7일100슬랑오르 FC
17데이비드 로울리David Rowley1990년 2월 6일50스리 파항 FC
18브렌단 간Brendan Gan1988년 6월 3일271슬랑오르 FC
21알리프 하이칼Aliff Haiqal2000년 7월 11일30슬랑오르 FC
FW7파이살 할림Faisal Halim1998년 1월 7일199슬랑오르 FC
9대런 록Darren Lok1990년 12월 14일224사바 FC
11사파위 라시드Safawi Rasid1997년 3월 5일5218랏차부리 미트르 폴 FC
13하킴 하산Hakim Hassan1991년 10월 2일60슬랑오르 FC
19에제퀴엘 아구에로Ezequiel Aguero1994년 4월 7일82스리 파항 FC
20샤미에 이스주안Shamie Iszuan1995년 9월 10일40사라왁 유나이티드 FC
22하키미 아짐Haqimi Azim2003년 1월 6일41쿠알라룸푸르 시티 FC


5. 역대전적[편집]



5.1. FIFA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경기승점득점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말라야 연합)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불참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합계본선진출 없음0/22[7]


5.2. AFC 아시안컵[편집]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21위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1956년
본선 진출 실패[4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0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964년
파일:이란 국기.svg
1968년
본선 진출 실패[5강]
파일:태국 국기.svg
1972년
본선 진출 실패[6강]
파일:이란 국기.svg
1976년
조별리그5위2011131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80년
조별리그6위4121555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1984년
본선 진출 실패[10강]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년
파일:일본 국기.svg
1992년
본선 진출 실패[8강]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년
본선 진출 실패[12강]
파일:레바논 국기.svg
2000년
파일:중국 국기.svg
2004년
본선 진출 실패[16강]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7년
조별리그16위30031120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1년
본선 진출 실패[16강]
파일:호주 국기.svg
2015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9년
본선 진출 실패[24강]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3년
?????????
파일:국기.svg
2027년
?????????
합계조별리그(3회)3/1791357206


5.3.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1996
준우승2위632118411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1998
조별리그6위3012031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00
4강3위641112413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인도네시아&싱가포르 2002
4강4위5212957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말레이시아&베트남 2004
4강3위750216915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싱가포르&태국 2007
4강4위513163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인도네시아&태국 2008
조별리그5위3102563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인도네시아&베트남 2010
우승1위732212811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말레이시아&태국 2012
4강4위5212777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싱가포르&베트남 2014
준우승2위7313131210
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미얀마&필리핀 2016
조별리그5위3102343
파일:ASEAN 깃발.svg
홈&어웨이 2018
준우승2위833211812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2020
조별리그6위4202886
파일:ASEAN 깃발.svg
홈&어웨이 2022
4강3위640212712
합계우승(1회)14/147534152613288117


6. 연령별 대표팀[편집]



6.1. U-23 대표팀[편집]



6.1.1. AFC U-23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2014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16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18
8강8위4411247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20
예선 탈락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2022
조별리그15위0300319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24
?????????
합계8강 (1회)1/5[8]47115516
굵은 글씨는 올림픽 진출권이 걸린 대회이다.


6.2. U-20 대표팀[편집]



6.2.1. AFC U-20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AFC youth championship 대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59 말레이시아
준우승2위94301262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0 말레이시아
준우승2위94301166
파일:태국 국기.svg
1961 태국
조별리그5위74211157
파일:태국 국기.svg
1962 태국
3위결정전4위85221116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3 말레이시아
조별리그5위95302106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64 남베트남
3위결정전3위74211117
파일:일본 국기.svg
1965 일본
4강3위96303616
파일:필리핀 국기.svg
1966 필리핀
8강5위7421183
파일:태국 국기.svg
1967 태국
조별리그12위020021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8 대한민국
준우승2위127403915
파일:태국 국기.svg
1969 태국
8강7위4411248
파일:필리핀 국기.svg
1970 필리핀
조별리그11위3310235
파일:일본 국기.svg
1971 일본
8강8위6420236
파일:태국 국기.svg
1972 태국
조별리그9위74211163
파일:이란 국기.svg
1973 이란
조별리그11위1201136
파일:태국 국기.svg
1974 태국
8강7위6420257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5 쿠웨이트
조별리그16위2402237
파일:태국 국기.svg
1976 태국
조별리그14위0300309
파일:이란 국기.svg
1977 이란
조별리그9위2302114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1978 방글라데시
조별리그12위3310239
파일:태국 국기.svg
1980 태국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1982 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5 UAE
기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6 사우디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카타르
기권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0 인도네시아
예선 탈락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2 UAE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4 인도네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2000 이란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2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04 말레이시아
8강8위6420246
파일:인도 국기.svg
2006 인도
조별리그15위0300317
AFC U-19 챔피언십 대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8 사우디[9]
예선 탈락
파일:중국 국기.svg
2010 중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2 UAE
파일:미얀마 국기.svg
2014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6 바레인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18 인도네시아
조별리그13위1301236
AFC U-20 아시안컵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우즈베키스탄
예선 탈락
합계준우승 (3회)22/39[10]11889351341159161


6.3. U-17 대표팀[편집]



6.3.1. AFC U-17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AFC U-16 Championship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85
기권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86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1988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199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992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94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1996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98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2000
AFC U-17 Championship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2002
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004
조별리그14위1301217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2006
예선 탈락
AFC U-16 Championship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2008
조별리그11위3310257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2010
예선 탈락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12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14
8강8위6420244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16
조별리그15위1301217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2018
조별리그12위3310288
AFC U-17 아시안컵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23
조별리그9위3310228
합계8강 (1회)6/19[11]171952122141

[1] 말레이어[2]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서포터즈이며, 전 세계 국가대표팀 서포터즈 중에는 드물게 보이는 강성 울트라스의 모습을 보이는게 특징이다. 대표적으로 2014년에 보인 머플러 응원이 유튜브에서 가장 뜨겁게 달궈지고있다.#[3] 2022년 1월 10일 기준.[4] A B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5] A B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6] A B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7]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10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8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2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강] A B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8] AfC U-23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9] 이 대회부터 3.4위전 폐지[10] AfC U-20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11] AFC U-17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